"해당 배너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최종 업데이트:
ChatGPT 소프트웨어 설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MR & MT
단순히 ChatGPT에 "시스템을 설계해줘"라고 요청하면 그럴듯하지만 일관성이 없고 요구사항이 누락된 결과를 얻기 쉽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문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며, 그 핵심에 바로 Macro Roadmap(MR)과 Micro Template(MT)가 있습니다.
MR(상위 전략)과 MT(세부 규칙)가 중요한 이유
이 두 가지 체계화된 지시문 파일은 ChatGPT가 일관되고 정확한 결과물을 생성하도록 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 Macro Roadmap (MR): 프로젝트의 큰 그림을 그리는 '전략 지도'입니다. 마일스톤, 성능 목표(예: 대시보드 로딩 3초 이하), 기술 원칙(예: RESTful API 준수) 등 프로젝트 전반의 목표와 제약 조건을 정의합니다.
- Micro Template (MT): 각 설계 문서의 구체적인 틀을 제공하는 '설계 기준서'입니다. 문서 목차, 기능 및 비기능 요구사항, 버전별 구현 계획([V0.5], [V0.9] 등)을 상세히 명시하여 작업의 일관성을 확보합니다.
이처럼 계층적 지시문을 활용하면 복잡한 요구사항도 누락 없이 반영하고, 결과물의 품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체계적인 AI 활용 설계 5단계 프로세스
성공적인 ChatGPT 활용을 위해,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5단계 반복 검수 루프를 적용했습니다. 이 과정의 핵심은 AI가 초안을 생성하고 인간 설계자가 최종 검수 및 판단을 내리는 것입니다.
- 1단계 (초기 지시문 주입): 준비된 MR과 MT 지시문 파일을 ChatGPT에 업로드하여 프로젝트의 전체 맥락과 규칙을 인지시킵니다.
- 2단계 (초안 생성): ChatGPT가 주입된 지시문을 바탕으로 시스템 설계 초안을 작성합니다.
- 3단계 (설계자 검토): 전문 설계자가 생성된 초안을 체크리스트와 비교하며 요구사항 반영 여부, 논리적 오류 등을 꼼꼼히 검토합니다.
- 4단계 (부분 패치): 검토 결과 누락되거나 수정이 필요한 부분만 명확히 표시하여 ChatGPT에게 재작성을 요청합니다.
- 5단계 (반복 검수): 모든 체크리스트 항목이 충족될 때까지 3, 4단계를 반복하며 설계의 완성도를 높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
ChatGPT 설계에서 MR/MT 방법론이란 무엇인가요?
MR/MT 방법론은 ChatGPT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설계 시 품질과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체계적인 지시문 구조입니다. MR(Macro Roadmap)은 프로젝트 전체의 전략, 목표, 성능 지표 등 상위 지침을 제공하고, MT(Micro Template)는 각 설계 문서의 목차, 요구사항 등 세부 규칙을 정의하여 AI의 결과물을 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AI의 환각(Hallucination) 같은 오류는 어떻게 관리하나요?
환각 오류는 AI의 창의적인 답변 생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문제입니다. 이를 통제하기 위해, 본 사례에서는 1) 모든 정보는 외부 공식 문서와 교차 확인하고, 2) 생성된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설계자가 직접 검증하며, 3) 주기적으로 지시문을 재주입하여 맥락 손실을 방지하는 등의 엄격한 관리 절차를 적용했습니다. AI는 보조 도구이며, 최종 판단은 항상 전문가가 내려야 합니다.
🎯 핵심 요약
AI가 생성한 초안은 반드시 전문가의 반복적인 검수와 수정(패치) 루프를 거쳐야 합니다.
이러한 인간 중심의 AI 활용법은 설계의 일관성과 품질,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현실적인 해법입니다.
"해당 배너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