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배너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데이터센터 결사반대!' 최근 여러 지역에서 데이터센터 건립을 두고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전자파'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 때문인데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시설이라는 데이터센터가 어째서 우리에겐 '기피 시설'이 되었을까요? 이 글에서는 전자파의 과학적 실체부터 시작해 데이터센터 전자파 논란의 진실까지, 꼭 알아야 할 정보들을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
전자파, 정확히 무엇일까요? 🧐
전자파(Electromagnetic waves)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파동 형태로 공간을 통해 퍼져나가는 에너지를 말합니다. 사실 전자파는 햇빛(가시광선, 자외선)처럼 자연에도 존재하고, 우리가 매일 쓰는 가전제품, 스마트폰 등에서도 발생합니다. 중요한 것은 전자파의 '종류'입니다.
전자파는 에너지가 센 '전리 방사선'과 에너지가 약한 '비전리 방사선'으로 나뉩니다.
- 전리(Ionizing) 방사선: X선, 감마선처럼 에너지가 매우 강해 원자를 변형시키고 DNA에 직접적인 손상을 줄 수 있는 방사선입니다.
- 비전리(Non-ionizing) 방사선: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대부분의 전자파로, 스마트폰, 와이파이, 가전제품, 그리고 데이터센터의 전력 설비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여기에 속합니다. 에너지가 약해 DNA를 변형시키지는 못합니다.
인체 유해성, 과학계의 판단은? 🧬
비전리 방사선의 인체 유해성 여부는 오랫동안 이어진 논쟁거리입니다. 현재까지의 과학적 연구 결과를 종합한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의 입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결론부터 말하면: "인체 발암 가능 물질(Group 2B)"로 분류합니다.
- Group 2B의 의미: 이는 '암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지만, 과학적 증거는 제한적이고 불충분함'을 의미합니다. 중요한 점은 커피, 김치나 피클 같은 절임 채소 역시 Group 2B에 포함된다는 사실입니다. 즉, 명확한 발암 물질(Group 1)이나 발암 추정 물질(Group 2A)과는 구별되는 등급입니다.
- 정부의 역할: 이런 불확실성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는 '사전 예방 원칙'에 따라 국제 권고 기준보다 훨씬 엄격한 자체 인체보호기준을 설정해 관리합니다. 우리나라도 국제기준(2000mG)보다 엄격한 833mG(밀리가우스)를 기준으로 삼고 있습니다.
데이터센터 전자파, 수치로 비교해보기 📊
백문이 불여일견. 실제 측정된 수치를 보면 데이터센터 전자파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정부 및 관련 기관에서 측정한 데이터센터 주변 전자파와 생활 가전의 전자파 수치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측정 대상 | 측정값 | 인체보호기준 대비 |
---|---|---|
국내 인체보호기준 | 833 mG | 100% |
데이터센터 부지 경계 | 기준치의 1% 미만 | ~ 1% |
IH 전기밥솥 (취사 중) | 최대 208 mG (기준치의 25%) | ~ 25% |
헤어드라이어 (사용 시) | 71.6 mG (기준치의 8.6%) | ~ 8.6% |
무선 청소기 | 기준치의 0.4% | ~ 0.4% |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데이터센터 경계에서 측정되는 전자파는 인체보호기준의 1%에도 미치지 않는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오히려 일상에서 사용하는 일부 가전제품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수치의 전자파가 발생하지만, 이 역시 인체보호기준을 훨씬 밑도는 안전한 수준임을 알 수 있습니다.
❓ 데이터센터 전자파, 자주 묻는 질문
결론적으로 데이터센터 옆에 살아도 정말 안전한가요?
그래도 불안한데, 아이들은 전자파에 더 취약하지 않나요?
전자파보다 더 걱정해야 할 문제는 없나요?
결론적으로, 데이터센터 전자파에 대한 막연한 공포보다는 과학적 사실에 기반한 합리적인 판단이 필요합니다. 투명한 정보 공개와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사회적 수용성을 높여나가는 노력이 동반되어야 할 것입니다.
"해당 배너는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